보이지 않는 공간의 힘

# 평범한 일상 2 -1일 1정리

오 린 2025. 4. 22. 19:58

정리가 마음을 치유한다

오늘도 옷장 안을 뒤적이며 입을 옷을 찾습니다.
한 계절을 살아가는 동안 뒤죽박죽 얽혀져 있는 옷들을 보며 나도 모르게 한숨이 나옵니다.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을 찾지 못해 일주일째  같은 옷을 입을때도 있습니다.

그런데 옷장 속은 옷들로 그득합니다.

11자 짜리 장농 안에는 수많은 옷들이 걸려 있는데, 정작 입는 옷은 몇 벌 되지 않습니다.
누군가의 선물로 받은 옷은 10점 남짓. 그 외 대부분은 나의 취향으로 구매했습니다 이많은 옷들을 정리하며 카드 지출 내역이 떠오릅니다 경제가 새어 나간 것이 보입니다.
비슷한 디자인의 옷을 반복해서 사고, 입지도 않은 옷들이 수년째 그대로 걸려 있고,
'살이 빠지면 입어야지' 하고 쟁여둔 옷들도 적지 않습니다.

정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

옷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정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며칠 안에 계절이 바뀌고, 지금 정리를 하지 않으면 또 입을 옷이 없다는 이유로 새 옷을 구매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옷장만 그런 게 아닙니다. 주방 수납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간장만 해도 몇 병이나 있는지 모를 지경이고, 유통기한이 지나버린 식재료도 적지 않습니다.
개봉도 하지 않은 식재료들이 결국 쓰레기통으로 들어가는 현실. 이 모든 것이 ‘정리를 하지 못한 삶’의 결과입니다.

정신을 차리고 사는 삶 = 정리하며 사는 삶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신을 차리고 산다는 건 결국, 정리하고 사는 힘이 아닐까?
그렇다면 ‘정리’는 단순한 집안일이 아니라, 마음을 다스리고 삶을 다시 세우는 아주 중요한 과정입니다.

정리는 곧 감정 정리입니다.
물건이 쌓여 있는 공간은 뇌에 무의식적인 부담을 주고, 스트레스와 피로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정리가 되어 있지 않은 방은 곧 내 안의 감정이 어지럽다는 뜻일지도 모릅니다.

“정리는 곧 나를 마주하는 일이다”

서랍 속에 잠들어 있던 오래된 영수증, 쓸모없는 상자, 잊고 있던 책자들.
그 모든 것이 과거의 나를 보여줍니다.
정리를 하며 우리는 이렇게 묻습니다. “이건 지금 나에게 필요한건가?”
그 물음은 비우기 위한 자기 성찰로 이어지고, 지금의 나를 점검하며 앞으로의 삶을 준비하는 시간으로 바뀝니다.

작은 정리부터 시작해 보세요

방 전체를 대청소할 필요는 없습니다.
책상 위 물건을 한 줄로 정돈하거나, 침대 위 이불을 정리하는 일만으로도 마음이 훨씬 가벼워집니다.
정리는 결과보다 '행위' 자체가 치유입니다. 나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작업, 내가 내 삶을 돌보고 있는 안정감마저 듭니다.

하루 5분, 나를 돌보는 시간

하루에 단 5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아침 기상 후 세탁할 빨래정리
  • 외출 전 청소기 돌리기
  • 잠자기전 식탁위 치우기

이러한 단순한 루틴이 삶에 질서를, 마음에 평화를 선사합니다.
규칙적인 정리는 삶의 리듬을 만들고, 스스로를 사랑하는 방법이 됩니다.

정리는 나를 위한 마음 챙김

사람들은 정리를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마음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울 때, 정리는 가장 손쉬운 마음 치유의 방법</strong입니다.
손을 움직이며 공간을 정돈하고, 그 과정에서 생각과 감정도 정리됩니다.
정리가 끝난 후의 공간은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쉼터’가 됩니다.

어지러운 세상, 나를 지키는 한 켠

우리는 모든 걸 다 통제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내 방 한 켠, 내 마음 한 켠은 내가 지킬 수 있습니다.
정리를 통해 우리는 삶을 새롭게 씻어내고,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오늘, 작은 정리부터 시작해보세요.
그 작은 실천이 당신의 하루를, 당신의 마음을 치유할 것입니다.

 

시간이 되시는 분은 수납 정리교육을 하실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 해 봅니다 

 

📚 주요 수납 정리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1. 한국정리수납협회(KAPO)
  2. 공간수납정리교육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3. 서울시 50플러스포털
  4. 의정부YWCA 평생교육원
  5. 김포시종합사회복지관

💡 추가 정보

  • 정리수납 전문가 2급 자격증은 일반적으로 15시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검정시험을 통과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 교육비용은 기관에 따라 다르며, 일부 기관에서는 교재비와 검정료가 별도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교육을 원하는 경우, 한국정리수납협회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과정을 고려해 보실 수 있습니다.한국정리수납협회(KAPO)